맨위로가기

니콜라 플라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플라멜은 14세기와 15세기에 파리에서 활동한 실존 인물로, 서기관으로 상점을 운영하며 교회에 재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는 1418년에 사망했으며, 파리 몽모렌시 거리에 있는 집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플라멜은 연금술사로서의 전설적인 이야기로 유명하며, 값싼 금속을 금으로 바꾸는 연금술사의 돌을 만들고 불멸을 달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연금술 관련 전설은 17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실제 플라멜이 연금술과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그는 대중문화에서 불멸성이나 현자의 돌과 관련된 인물로 자주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연금술사 - 질 드 레 남작
    질 드 레 남작은 프랑스의 귀족으로 백년 전쟁에 참전하여 잔 다르크와 협력하여 오를레앙 공방전을 승리로 이끌었으나, 이후 재산을 탕진하고 흑마술에 심취하여 소년들을 납치, 살해한 혐의로 처형되었다.
  • 프랑스의 연금술사 - 노스트라다무스
    노스트라다무스는 16세기 프랑스 출신의 의사이자 예언가로, 4행시 형식의 예언집을 통해 런던 대화재, 프랑스 혁명 등 주요 사건들을 예언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해석의 모호성으로 인해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퐁투아즈 출신 - 필리프 2세 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1363년 부르고뉴 공작위를 받아 영토를 확장하고, 플랑드르 백작 마르그리트 3세와 결혼하여 플랑드르 등을 상속받았으며, 샤를 6세의 섭정으로 권력을 행사하다가 부르고뉴파와 아르마냐크파의 내전을 초래했고, 샹몰 샤르트뢰즈 수도원을 건설했다.
  • 퐁투아즈 출신 - 세누 쿨리발리
    세누 쿨리발리는 말리 국적의 축구 선수이며, 2018년 디종 FCO에서 리그 1에 데뷔하여 현재는 AC 오모니아에서 활동하고, 말리 국가대표팀 선수로도 활약한다.
  • 프랑스 민속 - 모르탱
    모르탱은 프랑스 캉스 강 협곡 위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노르망디 백작령 중심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투가 벌어졌고, 현재는 캉통 중심지이며, 생 에브룰 교회 등의 명소가 있고 지질학자 페르디낭 앙드레 푸케의 출생지이다.
  • 프랑스 민속 - 푸른 수염
    푸른 수염은 샤를 페로의 동화로, 아내들을 실종시킨 푸른 수염 남자의 이야기이며, 그의 잔혹함과 아내의 불복종, 여성 억압 등 다양한 주제로 여러 매체에서 재해석되었다.
니콜라 플라멜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1418년 니콜라 플라멜의 묘비. 클뤼니 중세 박물관, 파리.


역사적 인물 플라멜은 14세기와 15세기에 파리에서 살았으며, 그를 언급하는 많은 자료들이 남아 있어 그의 삶은 잘 기록되어 있다. 그는 서기관으로 두 개의 상점을 운영했으며, 1373년 이전에 페르넬과 결혼했다.[2] 그녀는 이전 두 남편으로부터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다. 부부는 여러 개의 부동산을 소유했고, 때로는 조각상 제작을 의뢰하는 등 교회에 재정적으로 기여했다. 후반기에는 부와 자선으로 유명했다.

플라멜은 80대까지 살았고, 1410년 예수 그리스도, 성 베드로, 성 바울의 이미지가 새겨진 자신의 묘비를 디자인했다. 이 묘비는 클뤼니 중세 박물관(파리)에 보존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플라멜은 1418년에 사망했다.[3] 그는 파리의 옛 생자크-드라부슈리 교회 신랑석 끝에 매장되었다.[4] 1416년 11월 22일 자 그의 유언장은 그가 관대했지만, 후대 연금술 전설에서처럼 엄청난 부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역사 속 실존 플라멜이 연금술, 약학 또는 의학과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니콜라 플라멜의 집 중 하나는 파리 몽모렌시 거리 51번지에 남아 있으며, 파리에서 가장 오래된 돌집이다.[5] 이 집은 1407년에 지어졌으며, 벽에는 "1407년에 지은 이 집 현관에서 사는 우리 농부와 농부 아내들은 매일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을 바치며, 하느님의 은총이 가난하고 죽은 죄인들을 용서해주시기를 기도해야 합니다"라는 옛 비문이 새겨져 있다.[5] 2008년 기준으로 1층에는 식당이 있었다.[6]

생자크 탑 근처 파리의 거리 중 하나인 니콜라 플라멜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딴 페르넬 거리와 교차한다.[6]

2. 1. 파리의 집

니콜라 플라멜의 집 중 하나는 파리 몽모렌시 거리 51번지에 남아 있으며, 파리에서 가장 오래된 돌집이다.[5] 이 집은 1407년에 지어졌으며, 벽에는 "1407년에 지은 이 집 현관에서 사는 우리 농부와 농부 아내들은 매일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을 바치며, 하느님의 은총이 가난하고 죽은 죄인들을 용서해주시기를 기도해야 합니다"라는 옛 비문이 새겨져 있다.[5] 2008년 기준으로 1층에는 식당이 있었다.[6]

생자크 탑 근처 파리의 거리 중 하나인 니콜라 플라멜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딴 페르넬 거리와 교차한다.[6]

3. 연금술사로서의 전설

19세기의 니콜라 플라멜을 상상하여 그린 초상화


플라멜의 삶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들은 주로 17세기 작품, 특히 『상형 문자 그림책』(Livre des figures hiéroglyphiques)을 바탕으로 한다. 그의 명성의 핵심은 그가 연금술의 두 가지 목표, 즉 값싼 금속을 금으로 바꾸는 연금술사의 돌을 만들고, 그의 아내인 페르넬과 함께 "생명의 묘약"을 통해 불멸을 달성했다는 주장에 있다.

1612년 파리에서 『상형 문자 그림책』(Livre des figures hiéroglyphiques)이라는 제목으로, 1624년 런던에서는 『상형 문자 그림 해설』(Exposition of the Hieroglyphical Figures)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연금술 책이 플라멜에게 돌려졌다.[7] 이 책은 플라멜이 파리의 무고한 자들의 공동묘지(Cimetière des Innocents)에 있는 틴판눔을 위해 의뢰했다고 알려진 디자인 모음집으로, 이 책이 출판될 당시 이미 오래전에 사라진 것이었다. 출판사 서문에서 플라멜의 연금술사의 돌 탐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 서문에 따르면 플라멜은 1357년에 두 개의 플로린을 들여 구입한 신비로운 21페이지짜리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8] 서문에서는 1378년경에 번역을 위해 스페인으로 여행을 떠났다고 주장한다. 돌아오는 길에 그는 플라멜의 책이 원본 『유대인 아브라함의 책』(The Book of Abraham the Jew)의 사본임을 밝힌 현인을 만났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플라멜과 그의 아내는 수년에 걸쳐 연금술사의 돌 제조법을 성공적으로 복제할 수 있을 만큼 책의 내용을 해독하여, 1382년에 처음으로 은을, 그 후 금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플라멜은 히브리어로 된 몇몇 책들을 연구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타당성은 1761년 에티엔 빌랭에 의해 처음으로 의문을 제기되었다. 그는 플라멜 전설의 근원이 『상형 문자 그림 해설』(Exposition of the Hieroglyphical Figures)의 출판사인 P. 아르노 드 라 슈발리에이며, 그가 에이라나에우스 오란두스라는 필명으로 책을 썼다고 주장했다. 다른 작가들은 플라멜의 삶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를 옹호했으며, 17세기와 18세기의 목격담으로 장식되었고 그 이후로 허구적인 작품에서 확장되어 왔다.

플라멜은 17세기 중반까지 연금술계에서 전설적인 지위를 얻었고, 아이작 뉴턴의 저널에는 "카두케우스, 플라멜의 용"에 대한 언급이 있다.[9] 플라멜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에 부활하여 빅토르 위고는 『노트르담의 꼽추』에서 그를 언급했고, 에릭 사티는 플라멜에게 흥미를 느꼈으며,[10] 앨버트 파이크는 그의 저서 『프리메이슨 스코틀랜드 의식의 도덕과 교리』(Morals and Dogma of the Scottish Rite of Freemasonry)에서 니콜라 플라멜을 언급한다. 플라멜의 연금술사로서의 명성은 20세기 후반에 베스트셀러 소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11]과 그 영화 각색편에서 주요 연금술 물질의 창시자로 묘사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그는 또한 2018년 스핀오프 영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에도 등장하며, 브론티스 조도로프스키가 그를 연기했다.

플라멜(Nicolas Flamel)은 외국인으로부터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로 쓰인 「아브라함의 책」이라는 카발라(Kabbala)의 비법서를 얻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1379년, 이 비법서의 내용을 해독하기 위해 스페인(Spain)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로 순례를 떠났고, 안달루시아(Andalusia)의 대학에서 유대인 스승인 칸슈(Kanchu)에게서 배우며 비법서에 적힌 비밀을 터득했다.

21년에 걸쳐 칸슈와 함께 카발라의 비법서를 거의 해독했을 때 칸슈가 사망했다.

스페인에서 귀국한 후에는 여행 중에 얻은 연금술 기술로 재산을 모아 교회, 병원, 예배당 등에 많은 기부를 했다. 이러한 기부와 자선 사업의 기록 등 플라멜의 실존을 증명하는 문헌 자료가 현재에도 남아 있다.

플라멜이 파리(Paris)의 생지노비에프 묘지(cimetière des Saints-Innocents)에 기증한 아케이드에 조각되어 있는 연금술의 우의도는 후세에도 자주 인용되는 등, 그의 저술은 고전으로서 많은 연금술사들에게 존중받았다. 현자의 돌 제조로 불멸이 되었다고 하는 전설도 남아 있다.

플라멜의 아내 페르넬(Pernelle)도 남편과 함께 연금술 작업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 이후 유럽에서 연금술 작업에 여성이 참여하는 것은 드물었기에(실제로 많은 경우 참여가 금지되었다) 플라멜 부인은 희귀한 사례로 여겨진다.
전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위와 같은 연금술사로서의 플라멜 이미지는 주로 『상형 우의도의 책』의 기록에 근거하며, 이러한 전설과 플라멜이 기록했다고 하는 연금술 서적은 17세기~18세기에 걸쳐 널리 전해졌다.[12]

하지만 후대의 연구에 의해, 『상형 우의도의 책』을 비롯한 연금술 서적은 17세기 이후에 작성된 위서라는 설이 제기되었고, 최근에는 많은 검증 결과, 파리에 실존했던 출판업자 플라멜이 연금술과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는 견해가 평가를 얻고 있다.[12]

가장 초기부터 플라멜 연금술사 전설에 의문을 제기한 것은 18세기 생자크 드 라 부슈리 교회의 빌랑 수도사로, 1761년에 니콜라 플라멜(니콜라스 플라멜)에 대한 비판적인 평전을 출판했다.[12] 빌랑 수사는 교회 등에 남겨진 플라멜의 기록 등에서 『상형 우의도의 책』의 기록은 실존하는 플라멜의 기록 특징을 갖추고 있지 않고, 기록 내용도 실존 플라멜의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12]

하지만 빌랑 수사는 연금술에 비판적인 입장에서 이 설을 주장했기 때문에, 아비뇽의 헤르메스 철학자 돈 페르네티와 격렬한 논쟁이 되었다.(이것에 대해서는 캉슬리에의 『상형 우의도의 책』 서문에서 언급되고 있다)[12]

최근의 몇몇 연구는 플라멜이 남긴 기록 등과 필적·문체 등에 대해 객관적인 비교 검토를 한 결과, 빌랑 수사와 마찬가지로 『상형 우의도의 책』은 후대 다른 사람의 저작이라는 결론을 보이고 있다.[12] 예를 들어,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클로드 가니옹은 『니콜라 플라멜 탐구:부록 - 상형 우의도의 책(주해판)』에서 플라멜의 저작이라고 하는 『상형 우의도의 책』이 16세기 말~17세기 초에 쓰여졌고, 그 진짜 저자는 기독교 카발라주의자 기욤 포스텔 학파의 베로알드 드 베르빌임을 논증하고 있다.[12] 또 『상형 우의도의 책』은 원래 라틴어로 기록되었던 저작을 1612년에 피에르 아르노라는 인물이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고 되어 있지만, 이 인물의 실존성이 부족하고, 라틴어 원본이 발견되지 않은 점도 위서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12] 가니옹은 아르노가 베르빌의 불완전한 애너그램에 의한 필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2]

3. 1. 전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

위와 같은 연금술사로서의 플라멜 이미지는 주로 『상형 우의도의 책』의 기록에 근거하며, 이러한 전설과 플라멜이 기록했다고 하는 연금술 서적은 17세기~18세기에 걸쳐 널리 전해졌다.[12]

하지만 후대의 연구에 의해, 『상형 우의도의 책』을 비롯한 연금술 서적은 17세기 이후에 작성된 위서라는 설이 제기되었고, 최근에는 많은 검증 결과, 파리에 실존했던 출판업자 플라멜이 연금술과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는 견해가 평가를 얻고 있다.[12]

가장 초기부터 플라멜 연금술사 전설에 의문을 제기한 것은 18세기 생자크 드 라 부슈리 교회의 빌랑 수도사로, 1761년에 니콜라 플라멜(니콜라스 플라멜)에 대한 비판적인 평전을 출판했다.[12] 빌랑 수사는 교회 등에 남겨진 플라멜의 기록 등에서 『상형 우의도의 책』의 기록은 실존하는 플라멜의 기록 특징을 갖추고 있지 않고, 기록 내용도 실존 플라멜의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12]

하지만 빌랑 수사는 연금술에 비판적인 입장에서 이 설을 주장했기 때문에, 아비뇽의 헤르메스 철학자 돈 페르네티와 격렬한 논쟁이 되었다.(이것에 대해서는 캉슬리에의 『상형 우의도의 책』 서문에서 언급되고 있다)[12]

최근의 몇몇 연구는 플라멜이 남긴 기록 등과 필적·문체 등에 대해 객관적인 비교 검토를 한 결과, 빌랑 수사와 마찬가지로 『상형 우의도의 책』은 후대 다른 사람의 저작이라는 결론을 보이고 있다.[12] 예를 들어,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클로드 가니옹은 『니콜라 플라멜 탐구:부록 - 상형 우의도의 책(주해판)』에서 플라멜의 저작이라고 하는 『상형 우의도의 책』이 16세기 말~17세기 초에 쓰여졌고, 그 진짜 저자는 기독교 카발라주의자 기욤 포스텔 학파의 베로알드 드 베르빌임을 논증하고 있다.[12] 또 『상형 우의도의 책』은 원래 라틴어로 기록되었던 저작을 1612년에 피에르 아르노라는 인물이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고 되어 있지만, 이 인물의 실존성이 부족하고, 라틴어 원본이 발견되지 않은 점도 위서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12] 가니옹은 아르노가 베르빌의 불완전한 애너그램에 의한 필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2]

4. 플라멜의 저작으로 알려진 작품

1612년에 처음 출판된 상형 문자 책은 파리의 Veuve Guillemot에서 출판되었으며, ''Trois traictez de la philosophie naturelle''에 포함되어 있다. 1561년에는 파리의 Guillaume Guillard에서 ''De la transformation métallique''에 ''Le sommaire philosophique'' (철학적 요약)이 처음 출판되었다. ''Le Livre des laveures'' (세척의 책)은 수고본 BnF MS. Français 19978로 보관되어 있으며, ''Le Bréviaire de Flamel'' (플라멜의 예규서)는 수고본 BnF MS. Français 14765로 보관되어 있다.

1612년에 처음 출판된 상형 문자 책 표지

5. 대중문화 속의 플라멜

플라멜은 대중문학에서 불멸성이나 현자의 돌의 비밀을 쥐고 있는 전설적인 인물로 묘사되어 왔다.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1831)에서 비극적인 주인공 클로드 프로로는 젊은 사제이자 연금술사로, 앵상상의 조각상을 연구하며 플라멜의 비밀을 파헤치려고 애쓴다.

해리 포터』와 『신비한 동물사전』(1997–2022) 시리즈, 『강철의 연금술사』(2001–2010), 『불멸의 니콜라 플라멜의 비밀』(2007–2012), 영화 『위와 같이, 아래도 같이』(2014) 등에서 플라멜은 주요 소재나 인물로 등장한다.

2014년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에서는 니콜라 플라멜의 작품이 여러 임무의 중심 내용으로 등장하며, 비디오 게임 『스틸라이징』에서는 그의 전설적인 현자의 돌이 언급된다. 텔레비전 시리즈 『도서관리인들』에서 플라멜은 부상을 입을 수는 있지만 죽을 수 없는 불멸의 존재로 언급되었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에는 알버스 덤블도어의 공동 연구자로 665세의 "니콜라스 플라멜(Nicolas Flamel)"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며,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에 등장한다. 『연금술사 니콜라 플라멜』에는 준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의 부인 페르넬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외전 만화 《마법소녀 타르트☆마기카 The Legend of "Jeanne d'Arc"》에는 페르넬이 타르트를 돕고 있으며, 게임 앱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에는 니콜라 플라멜도 등장한다. 『갑주악귀무라마사』에는 남북조 시대 일본에 표류해 온 이방인 학자 우라무(浦夢)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Nicolas Flamel, des livres et de l'or
[2] 서적 The Well-Known Nicolas Flamel
[3] 서적 Metamorphosis of a death symbol: the transi tomb in the lat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Alchemy Penguin
[5] 서적 Paris Discovered: Explorations in the City of Light Princeton Book Company
[6] 서적 Frommer's Paris and Disneyland Resort Paris With Your Family: From Captivating Culture to the Magic of Disneyland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8-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경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1-01로 설정)
[7] 서적 Nicolas Flamel, his Exposition of the Hieroglyphical Figures (1624) Garland
[8] 백과사전 Flamel, Nicolas
[9] 웹사이트 Sententiæ luciferæ et Conclusiones notabiles http://www.newtonpro[...] 2011-05-15
[10] 서적
[11] 웹사이트 Who is Nicholas Flamel? And other historical figures https://www.nlm.nih.[...]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11-22
[12] 학술지 Le developpement regional, l'etat et le role des groupes populaires : le cas de l'Est du Quebec. https://doi.org/10.2[...]
[13] 서적 Nicolas Flamel, des livres et de l'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